과정명 | 아동관찰및행동연구(대면) | ||
---|---|---|---|
학습기간 | 2022년 04월 12일 ~ 2022년 07월 25일 | 이의신청기간 | 2022년 08월 04일 ~ 2022년 08월 05일 |
과제기간 | 2022년 05월 17일 ~ 2022년 06월 27일 | 토론기간 | 2022년 05월 17일 ~ 2022년 07월 04일 |
중간고사 | 2022년 06월 03일 ~ 2022년 06월 06일 | 기말고사 | 2022년 07월 22일 ~ 2022년 07월 25일 |
강의교안 | 없음 (자체 교안 사용) |
1주차 | 1차시 | 강의주제 | 1. 강의주제 : 아동 관찰 및 행동연구 방법의 개요1 |
---|---|---|---|
강의목표 | 2. 강의목표 -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의미와 목적을 파악하고 설명할 수 있다. |
||
강의세부내용 |
3. 강의세부내용 -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의미 -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목적 |
||
2차시 | 강의주제 | 1. 강의주제 : 아동 관찰 및 행동연구 방법의 개요2 |
|
강의목표 | 2. 강의목표 -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-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당면 문제와 개선방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|
||
강의세부내용 |
3. 강의세부내용 -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유형 -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당면 문제와 개선방향 |
||
2주차 | 1차시 | 강의주제 | 1. 강의주제 : 아동 관찰의 기초1 |
강의목표 | 2. 강의목표 - 관찰의 절차에 대해 파악하고 설명할 수 있다. - 관찰 과정에서의 유의점을 파악하고 설명할 수 있다. |
||
강의세부내용 |
3. 강의세부내용 - 관찰의 절차 - 관찰 과정에서의 유의점 |
||
2차시 | 강의주제 | 1. 강의주제 : 아동 관찰의 기초2 |
|
강의목표 | 2. 강의목표 - 관찰에서의 윤리적 쟁점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. - 관찰 연습의 유의사항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. |
||
강의세부내용 |
3. 강의세부내용 - 관찰에서의 윤리적 쟁점 - 관찰 연습 |
||
3주차 | 1차시 | 강의주제 | 1. 강의주제 : 영유아 발달과업과 관찰1 |
강의목표 | 2. 강의목표 - 연령에 따른 영유아의 발달과업과 관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|
||
강의세부내용 |
3. 강의세부내용 - 영아기 발달과업과 관찰 - 유아기 발달과업과 관찰 - 영유아기 발달과업 |
||
2차시 | 강의주제 | 1. 강의주제 : 영유아 발달과업과 관찰2 |
|
강의목표 | 2. 강의목표 - 발달 영역에 따른 영유아의 발달과업과 관찰에 대해 파악하고 설명할 수 있다. |
||
강의세부내용 |
3. 강의세부내용 - 발달 영역에 따른 영유아의 발달과업과 관찰 |
||
4주차 | 1차시 | 강의주제 | 1. 강의주제 : 서술식 관찰법 |
강의목표 | 2. 강의목표 - 표본기록법, 일화기록법, 연속기록법, 서술식 사건표집법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. |
||
강의세부내용 |
3. 강의세부내용 - 표본기록법 - 일화기록법 - 연속기록법 - 서술식 사건표집법 |
||
2차시 | 강의주제 | 1. 강의주제 : 약호식 관찰법1 |
|
강의목표 | 2. 강의목표 - 빈도 사건표집법과 시간표집법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. |
||
강의세부내용 |
3. 강의세부내용 - 빈도 사건표집법 - 시간표집법 |
||
5주차 | 1차시 | 강의주제 | 1. 강의주제 : 약호식 관찰법2 |
강의목표 | 2. 강의목표 - 행동목록법과 평정척도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- 행동목록법과 평정척도법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. |
||
강의세부내용 |
3. 강의세부내용 - 행동목록법 - 평정척도법 - 행동목록법과 평정척도법의 공통점 및 차이점 |
||
2차시 | 강의주제 | 1. 강의주제 : 포트폴리오 평가 |
|
강의목표 | 2. 강의목표 - 포트폴리오 정의 및 특성을 파악하고 설명할 수 있다. - 포트폴리오 구성 방법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. - 포트폴리오 설정 및 장단점을 파악하고 설명할 수 있다. |
||
강의세부내용 |
3. 강의세부내용 - 포트폴리오 정의 및 특성 - 포트폴리오 구성 방법 - 포트폴리오 설정 및 장단점 |
||
6주차 | 1차시 | 강의주제 | 1. 강의주제 : 사례연구 |
강의목표 | 2. 강의목표 - 사례연구의 개념 및 절차를 파악하고 설명할 수 있다. - 사례연구의 자료수집과 적용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. - 사례연구의 장단점과 유의점을 파악하고 설명할 수 있다. |
||
강의세부내용 |
3. 강의세부내용 - 사례연구의 개념 및 절차 - 사례연구의 자료수집과 적용 - 사례연구의 장단점과 유의점 |
||
2차시 | 강의주제 | 1. 강의주제 : 조사연구 |
|
강의목표 | 2. 강의목표 - 조사연구의 개념 및 절차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. - 조사연구를 위한 자료수집과 유의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. - 영유아 관련 정보를 모으는 방법의 강점과 제한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. |
||
강의세부내용 |
3. 강의세부내용 - 조사연구의 개념 및 절차 - 조사연구를 위한 자료수집과 유의점 - 영유아 관련 정보를 모으는 방법의 강점과 제한점 |
||
7주차 | 1차시 | 강의주제 | 1. 강의주제 : 영유아 발달 검사 |
강의목표 | 2. 강의목표 - 영유아 발달 검사의 성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- 영유아 발달 검사의 선정·실시 및 해석 방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. - 영유아 발달 검사의 분류와 실제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. |
||
강의세부내용 |
3. 강의세부내용 - 영유아 발달 검사의 성격 - 영유아 발달 검사의 선정·실시 및 해석 방법 - 영유아 발달 검사의 분류와 실제 |
||
2차시 | 강의주제 | 1. 강의주제 : 문제행동의 이해와 중재 |
|
강의목표 | 2. 강의목표 - 문제행동의 정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. - 공격성에 대해 이해하고 논의할 수 있다. |
||
강의세부내용 |
3. 강의세부내용 - 문제행동의 정의 - 공격성 |
||
8주차 | 1차시 | 강의주제 | 중간고사 |
강의목표 | 시험범위 : 01주~07주 수업내용 문제유형 : 총 25문항(주관식 5문항 / 객관식 20문항) 배점 : 25점 만점(주관식 각 1점 / 객관식 각 1점) |
||
강의세부내용 |
시험기간 : 08주차 금요일 00시 ~ 차주 월요일 18시 시험시간 : 60분(장애학습자의 경우 경우 90분) 주의사항 : 시험기회 1회 / 제한시간 도달시 자동제출 성적공개 : 기말고사 종료일 이후 10일 후 ※ 기간 내 시험을 응시하지 못하는 경우 추가시험 기회 없음 ※ 추가시험은 공결사유에 해당하는 인원만 가능, 단, 15%감점처리됨 |
||
9주차 | 1차시 | 강의주제 |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1 |
강의목표 | 1. 생물학적 요인 2. 환경적 요인 |
||
강의세부내용 |
1. 생물학적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환경적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|
||
2차시 | 강의주제 |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 | |
강의목표 | 1. 문제해결 중재를 위한 정보 2. 강화와 벌 |
||
강의세부내용 |
1. 문제 해결 중재를 위한 정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강화와 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|
||
10주차 | 1차시 | 강의주제 |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|
강의목표 | 1. 긍정적 행동지원의 정의 및 특성 2. 긍정적 행동지원의 이론적 근거 3. 긍정적 행동지원의 문제행동에 대한 관점 |
||
강의세부내용 |
1. 긍정적 행동지원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긍정적 행동지원의 이론적 근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긍정적 행동지원의 문제행동에 대한 관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|
||
2차시 | 강의주제 |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제 | |
강의목표 | 1. 긍정적 행동 지원의 공통적 방향과 목적 설정 2. 문제행동 관련 자료 수집을 통한 기능 진단 3. 문제행동의 기능진단에 의거한 가설 세우기 |
||
강의세부내용 |
1. 긍정적 행동지원의 공통적인 방향과 목적 설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문제행동 관련 자료 수집을 통한 기능진단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문제행동의 기능진단에 의거한 가설 세우기 및 평가를 설명할 수 있다. |
||
11주차 | 1차시 | 강의주제 |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1 |
강의목표 | 1. 영유아와 환경 2. 영아반 보육 환경 구성의 적용 3. 2세 영아를 위한 실내 놀이 환경 구성 4. 유아반 보육 환경 구성의 적용 5. 실내 놀이 공간 배치의 교육적 효과 |
||
강의세부내용 |
1. 영유아와 환경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. 2. 영아반 보육 환경 구성을 알고 적용할 수 있다. 3.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 적용할 수 있다. 4. 실내 환경 관찰에 대해 알고 적용할 수 있다. |
||
2차시 | 강의주제 |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의 활용2 | |
강의목표 | 1. 실외환경 관찰 2. 시설 및 설비 관찰 |
||
강의세부내용 |
1. 실외환경 관찰에 대해 알고 설명할 수 있다. 2. 시설 및 설비 관찰에 대해 알고 설명할 수 있다. |
||
12주차 | 1차시 | 강의주제 | 발달영역에 따른 행동관찰1 |
강의목표 | 1. 기본생활 2. 사회관계 3. 정서발달 |
||
강의세부내용 |
1. 기본생활영역에 따른 연령별 문제행동을 이해하고 지도할 수 있다. 2. 사회관계 영역에 따른 연령별 문제 행동을 이해하고 지도할 수 있다. 3. 정서발달 영역에 따른 연령별 문제 행동을 이해하고 지도할 수 있다. |
||
2차시 | 강의주제 | 발달영역에 따른 행동관찰2 | |
강의목표 | 1. 언어생활영역 2. 인지발달영역 3. 신체운동발달영역 |
||
강의세부내용 |
1. 언어생활영역에 따른 연령별 문제행동을 이해하고 지도할 수 있다. 2. 인지관계 영역에 따른 연령별 문제 행동을 이해하고 지도할 수 있다. 3. 신체운동발달 영역에 따른 연령별 문제 행동을 이해하고 지도할 수 있다. |
||
13주차 | 1차시 | 강의주제 | 일과운영과 영유아 관찰 |
강의목표 | 1. 표준보육과정의 구성 방향 2. 표준보육과정의 운영 3. 누리과정의 구성방향 4. 누리과정의 운영 |
||
강의세부내용 |
1. 표준보육과정의 구성 방향과 운영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. 2. 누리과정의 구성방향과 운영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. |
||
2차시 | 강의주제 | 부모 면담 | |
강의목표 | 1. 부모 면담의 목적 2. 부모 면담 계획 3. 부모 면담 실행 |
||
강의세부내용 |
1. 부모 면담의 목적에 대해 알고 적용할 수 있다. 2. 부모 면담 계획에 대해 알고 적용할 수 있다. 3. 부모 면담 실행 및 평가에 대해 알고 적용할 수 있다. |
||
14주차 | 1차시 | 강의주제 |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평가 |
강의목표 | 1. 유아평가의 이해 2. 연령별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 3. 연령별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 실제 |
||
강의세부내용 |
1. 유아평가의 이해를 알고 적용할 수 있다. 2. 연령별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. 3. 연령별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 실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|
||
2차시 | 강의주제 |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평가 | |
강의목표 | 1. 영아발달의 이해 2. 표준보육과정에서의 영아평가 3. 표준보육과정에서의 영아 평가 실제 |
||
강의세부내용 |
1. 영아평가의 이해에 대해 알고 실천할 수 있다. 2. 표준보육과정에서의 영아평가에 대해 알고 적용할 수 있다. 3. 표준보육과정에서 영아평가 실제에 대해 알고 적용할 수 있다. |
||
15주차 | 1차시 | 강의주제 | 기말고사 |
강의목표 | 시험범위 : 09주~14주 수업내용 문제유형 : 총 25문항(주관식 5문항 / 객관식 20문항) 배점 : 25점 만점(주관식 각 1점 / 객관식 각 1점) |
||
강의세부내용 |
시험기간 : 15주차 금요일 00시 ~ 차주 월요일 18시 시험시간 : 60분(장애학습자의 경우 경우 90분) 주의사항 : 강의평가 참여 후 시험진행가능 / 시험기회 1회 / 제한시간 도달시 자동제출 성적공개 : 기말고사 종료일 이후 10일 후 ※ 기간 내 시험을 응시하지 못하는 경우 추가시험 기회 없음 ※ 추가시험은 공결사유에 해당하는 인원만 가능, 단, 15%감점처리됨 |